
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가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정부 주요 전산 시스템이 멈추면서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에도 차질이 빚어졌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사건 개요, 알려진 원인, 그리고 남은 의문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사건 개요와 피해 현황
이번 화재는 2025년 9월 26일 저녁 8시 15분경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했습니다. 화재 직후 정부는 약 647개 업무 시스템이 중단되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중 70여 개는 직접적인 피해를 입어 복구가 더딘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우체국 금융·우편 시스템처럼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가 멈추면서 불편이 이어졌습니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크지 않았지만, 작업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2. 알려진 원인과 정황
화재의 발화 지점은 UPS(무정전 전원장치)에 연결된 리튬이온 배터리로 추정됩니다. 당시 전산실에서는 배터리를 지하로 옮기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는데, 케이블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스파크가 튀어 불이 번졌다는 정황이 제기되었습니다.
문제가 된 배터리는 2012~2013년에 생산된 것으로, 이미 10년 이상 된 노후 장비였습니다. 노후 배터리 자체가 반드시 화재를 유발하지는 않지만, 교체나 관리가 늦어진 점은 지적받고 있습니다. 또한 서버와 배터리 사이 간격이 좁고, 전산실 구조상 소방 활동이 어려웠다는 점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3. 남은 의문과 향후 과제
이번 사건은 단순 화재를 넘어 여러 의문점을 남겼습니다. 우선 오래된 배터리 관리 문제와, 작업자 과실인지 설계·관리 책임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또한 정부 전산망은 장애 발생 시 몇 시간 안에 복구하도록 되어 있지만, 화재처럼 물리적 손상이 일어난 경우엔 속수무책이라는 점도 드러났습니다.
앞으로는 주요 전산실의 안전 설계, 노후 장비 관리, 백업 시스템 강화 등이 시급합니다. 무엇보다 정부는 감식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국민 앞에 명확히 제시해야 할 것입니다.
👉 이번 사건은 단순한 “화재 사고”가 아니라, 국가 정보 인프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되짚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