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둑판을 떠난 인생 한 수
tvN 드라마 <미생>은 2014년 방영 이후, 수많은 직장인들의 인생 드라마로 손꼽히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윤태호 작가의 동명 웹툰을 원작으로 한 이 작품은, 단순한 오피스물이 아닌 우리 사회 청춘들의 현실을 담아낸 인생 드라마로 불립니다. 비정규직이라는 신분의 장벽과 일터 속 인간관계, 성장의 아픔을 그린 이 이야기는 시대를 뛰어넘는 공감과 여운을 남겼습니다.
1. 줄거리 – 바둑에서 사회로, 장그래의 생존기
주인공 장그래(임시완 분)는 어린 시절부터 바둑에 모든 것을 걸었지만 프로 입단에 실패하고, 결국 사회로 나와 원인터내셔널이라는 종합상사에 인턴으로 입사하게 됩니다. 바둑 외에는 이렇다 할 학력도, 경력도 없는 그는 '낙하산'이라는 시선을 받으며 어렵게 적응해 나갑니다.
정규직 전환이 걸린 인턴 기간 동안 장그래는 과장 오상식(이성민 분) 아래 배치되어, 낯설고 복잡한 업무를 하나씩 배워나갑니다. 그와 함께 인턴 생활을 시작한 동기들인 안영이(강소라 분), 장백기(강하늘 분), 한석율(변요한 분) 또한 각자의 자리에서 현실의 벽과 마주합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장그래는 계약직이라는 신분 때문에 차별을 겪고, 그의 존재를 두고 회사 안팎에서 수많은 갈등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그는 바둑에서 배운 '생각의 힘'과 '판을 읽는 능력'으로 점차 실력을 인정받기 시작합니다. 상사 오상식과의 끈끈한 관계, 팀워크, 실무 경험이 쌓이면서 비로소 회사라는 새로운 바둑판 위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아가기 시작합니다.
2. 등장인물 – 누구도 평면적이지 않은 인물들

이 드라마의 강점은 현실감 넘치는 등장인물에 있습니다. 주인공은 물론, 조연 하나하나까지도 입체적으로 그려져 깊은 몰입감을 줍니다.
장그래 (임시완)
바둑 외에는 가진 것이 없는 계약직 신입사원. 좌절과 무력감 속에서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며 자신만의 방식으로 사회에 적응해 나갑니다.
오상식 과장 (이성민)
영업 3팀의 과장으로, 인간미와 소통 능력이 뛰어난 상사. 장그래를 처음에는 냉대하지만 점점 진심으로 챙기며 성장의 길을 열어줍니다.
안영이 (강소라)
스펙도 뛰어나고 업무 능력도 탁월한 정규직 신입사원. 그러나 여성이라는 이유로 조직에서 겪는 부당한 대우와 싸워 나갑니다.
장백기 (강하늘)
엘리트 출신으로 자존심이 강한 인물. 장그래와 경쟁 구도 속에서 점점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석율 (변요한)
다소 자유롭고 유쾌한 성격의 신입사원. 조직의 비효율성과 위계질서에 반항하며 갈등을 겪지만, 진심을 다하는 인물입니다.
이 외에도 부장, 팀장, 본부장 등 현실에서 마주할 법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실제 직장 생활의 생태계를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줍니다.
3. 감상평 – 우리 모두는 아직 ‘미생’입니다
<미생>은 단순한 드라마가 아닙니다. 누군가는 이 작품을 통해 첫 사회생활의 두려움과 희망을 되새기고, 누군가는 현실 속 조직과 인간관계의 피로감을 느끼며 공감합니다.
특히 장그래라는 인물을 통해 "가진 것이 없어도 버틸 수 있는가", "내 자리란 과연 존재하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이 드라마에는 뚜렷한 악역이 없습니다. 모두가 각자의 생존을 위해 애쓰는 미생들일뿐입니다. 그 안에서 때로는 부딪히고, 때로는 손을 잡으며 나아가는 모습은 우리의 일상과 너무나 닮아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끝없는 경쟁 속에서도 인간다움을 잃지 않으려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장그래가 계약직이라는 벽에 수없이 부딪히면서도 꺾이지 않는 것은, 단지 실적 때문이 아니라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작은 믿음과 연대의 힘 덕분이었습니다.
드라마의 제목처럼, 우리는 모두 '미생(未生)'입니다. 아직 완전하지 않은, 그러나 완생을 향해 살아가는 존재들입니다.
<미생>은 그 여정이 얼마나 치열하고 외로우며, 동시에 아름다운지 보여주는 작품이었습니다.
#미생#장그래#임시완#이성민#강소라#강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