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추석 연휴에도 문 여는 당번병원,약국 찾는 법

by 하리넷 2025. 10. 3.
반응형

 

연휴 문여는약국


연휴에는 문 닫는 약국이 많아 갑자기 아플 때 곤란하죠. 서울에서는 응급의료포털(E-Gen), 응급의료정보제공 앱, 120 다산콜센터·119를 활용하면 연휴에도 운영 중인 당번 약국(휴일지킴이약국)을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정부·지자체가 명절마다 비상 진료 체계를 가동하니, 아래 순서대로 확인해 보세요. 


1) 가장 빠른 방법: E-Gen(응급의료포털)

  • PC·모바일 웹에서 현재 위치 기준으로 연휴 운영 약국을 바로 검색할 수 있어요.
  • 응급실 혼잡도, 병원·약국 운영시간도 함께 확인 가능.
  • 정부 공식 안내에서도 야간·주말·연휴 이용 시 E-Gen 활용을 권장합니다. 

팁: 결과가 없으면 반경(거리)을 넓히거나 ‘야간/24시간’ 필터를 해제하고 재검색하세요.


2)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안드로이드/iOS)

  • 지도 기반으로 주변 약국·병의원을 한 번에 확인.
  • 명절 전용 탭으로 휴일지킴이약국 조회 가능.
  • 즐겨찾기로 자주 가는 약국을 저장해 두면 다음 연휴에 더 빨라요.

3) 120 다산콜센터·119 활용

  • 인터넷이 어려울 땐 120(서울시), 긴급 시 119로 전화해 지금 문 여는 약국을 안내받을 수 있어요.
  • 서울시는 명절마다 상황실을 운영하며 당번 약국·응급의료기관 정보를 전화로 제공합니다. 

4) (중요) 연휴 기간 심평원 일부 온라인 서비스 변동 가능성

  • 올해 추석(10월 2~9일)에는 심평원 전산 이전으로 일부 온라인 서비스의 일시 중단 가능성이 안내되었습니다.
  • 약국 찾기는 E-Gen··전화(120/119) 경로를 우선 이용하세요. 

자치구별 검색 팁

  • 강남·서초·송파·마포·용산 등 상권 밀집 지역은 심야 약국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주택가 중심 구(도봉·강북·강서 등)는 반경을 3~5km로 넓혀 조회하면 더 잘 나옵니다.
  • 응급실 인근(대학병원 주변)에는 응급실 옆 약국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으니 함께 검색해 보세요. (E-Gen에서 병원 주변으로 지도 이동→약국 레이어 켜기) 

 

 

이런 경우, 이렇게!

  • 심야(자정~새벽): “24시간 약국”, “심야 약국” 필터를 켜고, 반경을 넓혀 재검색. 
  • 소아 해열제·감기약: 앱에서 약국 전화 후 재고/운영시간 확인 → 방문.
  • 처방전 조제: 조제 가능 여부·마감 시간 반드시 통화 확인.
  • 외국인 동반: 서울시 영문 안내에서도 120/119 이용을 안내합니다. 간단한 영어 안내가 가능해요. 

체크리스트 (출발 전 1분 점검)

  • 운영시간 실시간 확인(앱/전화)
  • 신분증·보건증(필요 시)
  • 기존 복용약 사진/리스트
  • 결제수단(심야 영업은 현금·카드 정책이 다를 수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