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치과 크라운, 왜 아플까?

by 하리넷 2025. 10. 7.
반응형

 

치과치료받는 장면

 

 

금으로 씌운 치아가 다시 아픈 이유와 치료 방법


나이가 들수록 치아 건강은 점점 더 신경 쓰이게 됩니다. 저희 남편도 몇 년 전 치아가 부실해져서 결국 금으로 크라운을 씌우게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단단하고 오래갈 것 같아 안심했는데, 최근 들어 그 치아가 다시 아프다고 호소하더군요. 마치 속에서 썩어 들어가는 듯한 느낌이라고 말할 정도였습니다. 금으로 씌웠는데 왜 또 아픈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크라운을 했는데도 통증이 생기는 이유와 치료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

크라운이 아픈 이유


겉보기에는 금이나 도자기로 단단히 씌워져 있으니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치아 속은 여전히 살아 있고 세균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차 충치(보철물 안쪽 충치)
크라운과 치아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기면 세균이 침투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그 틈에서 충치가 자라나게 되는데,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생겨서야 알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신경 염증
충치가 깊어지거나 오래된 치아가 약해지면 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때는 찌릿찌릿한 통증, 밤에 심해지는 통증, 씹을 때 느껴지는 묵직한 압박감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3. 치근부 염증
치아 뿌리 끝에 염증(치근단 농양)이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았거나, 오랜 세월 지나면서 세균이 치근 끝에 자리 잡은 경우입니다. 이런 때는 잇몸이 붓거나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치과에서 진행되는 치료 과정


아픈 치아를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치과에서는 단계적으로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를 시작합니다.

1. 정밀 검사
가장 먼저 X-ray를 촬영하여 크라운 내부의 상태와 신경, 치근 끝 염증 여부를 확인합니다. 외관만 보고는 알 수 없는 문제들이 이때 드러납니다.


2. 크라운 제거
문제가 확인되면 기존 금 크라운을 제거합니다. 안쪽을 눈으로 직접 보고, 충치가 있다면 그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치아를 다듬습니다.


3. 신경치료(근관치료)
신경이 이미 손상되었거나 염증이 진행 중이라면 신경을 제거하고 근관을 소독·충전하는 근관치료를 합니다. 보통 2~3회의 내원이 필요하며, 치료 후 통증이 서서히 사라집니다.


4. 재보철(새 크라운 제작)
신경치료가 끝나면 치아 형태를 다시 다듬고 새로운 크라운을 씌웁니다. 최근에는 심미성과 강도를 겸비한 지르코니아 크라운이 많이 쓰이며, 금속-도재 혼합형(PFM)이나 골드 크라운도 여전히 선택됩니다.


5. 발치 후 대체 치료
치아가 너무 많이 손상되어 살릴 수 없는 경우는 불가피하게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나 브리지 등으로 대체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기에 치료를 받으면 발치까지 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관리와 예방이 중요한 이유


남편의 경우처럼 몇 년 전 씌운 금 크라운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크라운은 반영구적이지만, 치아와 잇몸은 여전히 변화하기 때문에 정기 검진이 필수입니다.

치실과 치간칫솔 사용 : 크라운은 이음새 부분에 음식물이 잘 끼므로 관리가 소홀하면 쉽게 2차 충치가 생깁니다.

정기적인 치과 방문 : 최소 6개월~1년에 한 번씩은 치과 검진을 받아 크라운 상태와 잇몸 건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래된 크라운 교체 : 5~10년 이상 사용한 보철물은 틈이 생기기 쉬우므로 필요하다면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금으로 씌웠는데 왜 또 아플까?” 하는 남편의 말은 단순한 의문이 아니라, 많은 분들이 겪는 공통된 고민이기도 합니다. 크라운은 겉모습만 단단할 뿐, 안쪽 치아는 여전히 세균에 취약하기 때문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빨리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입니다.

남편도 결국 치과에서 크라운을 제거하고 신경치료 후 새 보철물을 씌워야 한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덕분에 더 큰 문제를 막을 수 있었지요. 치아는 한 번 상하면 되돌릴 수 없기에, 조기에 관리하고 치료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혹시 지금도 크라운 부위가 아프다면, 지체하지 말고 가까운 치과를 방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통증은 결코 그냥 지나가지 않으니까요.

반응형